공유기는 ISP업체로부터 공인IP를 할당 받고,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PC, NAS, 스마트폰, IP CAM 등)에 192.168.0.XX와 같은
사설IP를 할당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합니다.
공유기에 연결된 모든 기기는 공유기가 할당 받은 공인IP로 통신하므로 외부(원격지)에서 공유기 내부 망의 특정 서버로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포트번호를 공유기 내부 네트워크의 IP주소와 내부 포트 번호로 연결시켜주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포트 포워드’ 라고 하며, ‘포트 포워드’ 설정은 공유기의 관리 화면에서 가능합니다.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드’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접속하고자 하는 내부 기기의 IP주소와 사용 포트를 알고 있어야 하며,
만약 기기의 IP주소와 포트번호를 모른다면 본 게시물을 진행하기 전에 먼저 해당 기기 제조사 측에 문의하여
IP주소 및 사용하는 포트 번호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본 게시물은 192.168.0.10의 IP주소를 갖는 웹 서버 PC의 TCP 80 서비스 포트를 외부포트 8080으로 포트 포워드 설정하는 예시입니다.
[진행 순서]
1. 포트 포워드 설정하기
2. 외부에서 접속하기
1. 포트 포워드 설정하기
(1) 공유기 웹 설정 화면 접속
본 게시물에서는 ipTIME 공유기의 기본 IP주소 192.168.0.1을 사용하였으며
기본 IP주소가 변경되었다면 ipTIME 검색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웹 설정화면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공유기 검색기 사용 방법 <<< 클릭하세요.
공유기 웹 설정화면 접속은 공유기와 연결된 PC를 이용하여 아래 그림의 ①~⑥의 순서로 진행합니다.
① 인터넷 주소창에 http://192.168.0.1을 입력하여 ipTIME 공유기 웹 설정화면으로 접속합니다.
② 로그인 계정이 admin으로 입력된 경우 암호에 admin을 입력합니다.
③ 보안문자를 입력합니다.
④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⑤‘관리도구’를 클릭합니다.
(2) 고급 설정-> NAT/라우터 관리-> [포트 포워드 설정] 메뉴로 접속합니다.
(3) 포트 포워딩 규칙을 아래 그림의 ①~⑥순서로 추가합니다.
① 규칙 이름: 임의로 설정합니다. 본 게시물에서는 “example”로 입력했습니다.
② 내부 IP주소: 외부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기기의 내부 IP주소를 입력합니다. 본게시물에서는 192.168.0.10을 입력했습니다.
③ 프로토콜: TCP
④ 외부 포트: 외부에서 접속할 때 사용할 포트번호를 입력합니다. 본 게시물에서는 임의로 8080을 입력했습니다.
외부 포트 번호는 외부 접속 시 이용하는 포트 번호이므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⑤ 내부 포트: 외부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기기의 포트번호를 입력합니다. 본 게시물에서는 80을 입력하였습니다.
⑥ 적용을 클릭합니다.
※ 참고
- 외부 포트와 내부 포트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예: 내부 포트:80, 외부 포트:80)
- 내부 IP주소와 내부 포트를 모르신다면, 해당 기기 제조사 측에 문의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 규칙이 추가된 것을 확인합니다.
2. 외부에서 접속하기
(1) 기본 설정-> 시스템요약정보에서 [외부 IP 주소]를 확인합니다.
(2) 외부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http://외부IP주소:외부 포트번호를 입력하면 기기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본 게시물에서 외부IP주소는 210.xxx.xx.xx로 확인되고, 외부 포트는 8080으로 설정하였으므로 http://210.XXX.XXX.XXX:8080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 참고
공유기에 DDNS를 설정하시면 외부에서 접근 시 외부IP주소 대신 사용자가 등록한 DDNS 이름으로
편리하게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공유기 DDNS 설정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