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USB 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절차가 필요합니다.
'NAS 관리툴 - USB 관리 - USB 장치 관리'로 이동하시면 현재 인식된 장치의 정보가 우측에 표기됩니다.
'장치제거'를 클릭하여 NAS 시스템에서 USB를 분리하신뒤 USB를 제거해 주시기 바랍니다.
2. 브라우저의 탐색기 모드는 NAS의 데이터로 접속하는 과정 중 하나 입니다.
탐색기는 용량 제한 및 폴더 단위로는 PC로 다운로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제한으로 복사에 제약이 있다면
윈도우 파일 탐색기나 FTP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컴퓨터로 다운로드할 폴더가 많거나 파일이 많다면 속도나 안정성을 고려하여 FTP를 권유 드립니다.
3. RAID는 NAS에 장착된 HDD를 그룹화하는 설정이며, 스냅샷은 BTFS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백업이 된다는 큰 의미에선 같지만 조건, 구성 방법, 동작은 전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는것이 맞겠습니다.
스냅샷은 설정하는 HDD에만 저장되기 때문에 다른 저장 장치(특정 영역)에는 저장 할 수 없습니다.
4. 스냅샷의 장점은 저장된 시점으로 파일을 복원할 수 있으며, 용량을 차지하는것 외 스냅샷의 단점은 없습니다.
NAS2D에서 설정 가능한 RAID 종류는 JBOD, RAID0, RAID1 이 있습니다.
JBOD,RAID0는 2개의 HDD를 1개의 논리적 디스크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한개의 HDD가 고장나면 모든 데이터가 소실됩니다.
RAID1는 모든 데이터를 2개의 HDD에 중복 저장하는 방식으로 한개의 HDD가 고장나더라도 나머지 HDD를 통해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으나
용량은 전체 용량의 50%만 사용하게 됩니다.
- RAID에 대한 내용은 NAS2D의 제품 소개 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5. NAS2D는 대용량 파일 전송시 초당 70~90MB/s까지 사용 가능한 모델입니다.
다수의 파일을 복사할 경우 컴퓨터의 성능에 따라 속도의 저하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객관적 확인을 위해 소수의 대용량 파일로
속도 확인을 부탁드리며, 속도의 저하가 발생될 경우 가장 먼저 해볼것은 NAS에 연결된 LAN 케이블을 NAS의 다른 LAN포트로 연결하는것과
케이블 교체, 그리고 NAS가 설치된 환경에서 윈도우 파일공유(SMB)로 파일 전송시 속도가 어떻게 측정되는지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NAS에는 권한 설정 외 속도를 높이는 설정은 없습니다.
때문에 특정 PC나 특정 서비스에서만 나타나는 이슈인지를 확인하고 문제가 될만한 부분이 없다면 하드웨어 문제는 아닌지 점검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iptime nas2dual 제품 사용중입니다.
몇가지 백업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스냅샷등 백업 구성 작업 진행을 위해서
외장하드에 데이터 백업후 구성 진행하고자 합니다.
1. usb 포트 사용하여 외장 하드 연결 시 마운트 해제 등 절차 필요한지요?
2. 복사/붙여넣기 등 백업/복원 작업시 관리 웹브라우저 접속하여 탐색기 모드 방법 이외에 다른 빠르고 편한 방법이 있는지요?
데이터 용량문제로 웹브라우저 방법 사용시 한번에 진행이 안되어 여러번 폴더 이동 및 확인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3. 스냅샷과 RAID 구성(0)은 전혀 다른 백업 방법인지요?
- 스냅샷의 경우 1개의 HDD로 구성이 가능하며 특정영역에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지요?
아님 동일하게 2개의 HDD로 구성하여야 하면 RAID와는 형태가 다른것인지요?
2개가 필요하다면 서로 다른 제품이어도 스냅샷 구성이 가능한지요?
4. 스냅샷과 RAID구성 각각의 장단점을 알고 싶습니다.
5.현재 작은 사무실에서 사용중입니다.
속도에 대한 불만이 많습니다.
개선할 방법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