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에 연결된 PC에서 FTP 서버를 운영하고자 한다면,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FTP 포트(TCP 21, 기본포트)를 개방하는 포트포워드 설정이 필요합니다
본 게시물은 IP주소가 192.168.0.2인 PC에서 FTP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를 예로 설정합니다.
[진행 순서]
FTP 서버 운영을 위한 포트포워드 설정 및 서버 운영 방법의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공유기 포트 포워드 설정 및 외부IP주소 확인
2. FTP 클라이언트에서 FTP 서버로 접속하기
1. 공유기 포트 포워드 설정 및 외부IP주소 확인
- 외부에서 FTP 서버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공유기의 포트포워드 설정을 통해 FTP 21포트(기본 포트)를 개방하고,
공유기의 외부IP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1) 공유기 설정 화면 접속 및 로그인
공유기와 연결된 PC에서 아래와 같이 ⓛ~④순서로 공유기 설정화면에 접속합니다.
ⓛ 인터넷 주소 창에 //192.168.0.1을 입력하여 ipTIME 공유기 설정 화면으로 접속합니다.
② 로그인 이름과 암호, 보안문자를 입력합니다. (로그인 이름에 admin이 입력되어 있다면, 로그인 암호에도 admin을 입력합니다.)
③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④ [관리도구]를 클릭합니다.
※ 공유기 설정 화면에 접속되지 않는다면, ipTIME 검색기를 이용하여 접속해 보시기 바랍니다.
2) 화면 왼쪽의 [NAT/라우터 관리]-> [포트포워드 설정]메뉴로 접속하여 추가(+)아이콘을 클릭합니다.
3) 규칙 추가 창이 열리면 포트 포워딩 규칙을 입력하여 추가합니다.
① 규칙이름: 임의로 입력합니다. (본 게시물은 예시로 ftp로 작성하였습니다)
② 규칙 종류: FTP 선택
③ 내부IP주소: FTP 서버 PC의 IP주소를 입력합니다.
(본 게시물은 IP주소가 192.168.0.2인 PC에서 FTP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를 예로 설정합니다.)
④ 추가를 클릭합니다.
4) 규칙이 추가된 것을 확인합니다.
5) [시스템 요약정보]메뉴에 접속하여 외부 IP주소를 확인합니다.
- 외부 원격지에서 FTP 서버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공유기의 외부IP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 외부 IP주소는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당사에서 제공하는 DDNS를 이용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ipTIME 공유기 DDNS 설정 방법
2. FTP 클라이언트에서 FTP 서버로 접속하기
- 본 게시물에서는 Filezilla Client프로그램을 사용했습니다.
- FTP 클라이언트마다 접속 방법은 다릅니다.
1) Filezilla Client를 실행 후 아래와 같이 FTP 서버 정보를 입력 후 빠른 연결을 클릭합니다.
- 호스트:1단계에서 확인한 공유기의 외부IP주소를 입력합니다.
- 사용자명: FTP서버에서 설정한 아이디를 입력합니다.
- 비밀번호: FTP 서버에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포트: 1단계에서 설정한 외부포트번호인 21을 입력합니다.
[참고] FTP 21 포트에 제한이 있는 경우 설정방법
만약 사용중인 인터넷 회선에서 TCP 21번 포트의 통신을 차단하였을 경우 외부 사용 포트를 변경하여 서버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TCP 21번 대신 다른 포트를 설정하게 되면 추가로 FTP 비정규 포트를 설정하여야 합니다.
1) 포트포워드 설정시 아래와 같이 [외부 포트]를 다른 포트로 변경합니다. (예. TCP 2121)
2) FTP 포트 변경 설정 후 [전체 메뉴] → [NAT/라우터 설정] → [고급 NAT 설정]을 클릭하고
FTP 비정규포트 추가 메뉴에서 설정할 외부 포트를 입력 후, + 아이콘을 클릭합니다